Anno 1800

뉴비를 위한 투자가까지 빌드업(컴플리트 에디션 부둣가 빌드 전까지)-02

까도_ 2023. 7. 11. 15:46

02 트릴로니 곶에서 기술자까지 해금 공략 시작하겠습니다.

 

공략 순서에 수정이 있었습니다. 원래는 섬 분업화를 나중에 하려고 했는데, 크라운폴스에 생산건물을 지어봐야 나중에 부술 게 뻔해서(그렇다고 다른 섬에 짓는다고 평생 쓸 건 아니지만) 처음부터 다른 섬에 짓고자 합니다. 그와 동시에 트릴로니 곶 기술자까지 해금 과정을 두 편으로 나눌 예정입니다.

-----------------------

[공략에 앞서]

많은 뉴비들이 직공-기술자 티어 생산건물의 높은 유지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파산하는 경우가 많다. 이 원인으로는 (1) 소비량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생산량으로 인한 적자이거나, (2) 지나치게 빌드를 빠르게 올려서 이전 단계에서 충분한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거나 (3) 수익을 끌어올 수 있는 부분을 간과하기 때문이다. 결국 급하게 가려다 무너지는 경우가 대다수다. 고인물들은 최적의 효율을 찾아 타임어택 하듯이 게임을 하지만, 초심자는 생산, 소비, 노동력의 개념이 머리에 완전히 자리잡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이므로 마음을 느긋하게 가지자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1) 구대륙 본섬(이하 01본섬)의 생산량을 조절하고, (2) 규모의 경제(박리다매)를 통해 충분한 수익을 창출할 것이며, (3)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할 것이다.

또한 [트릴로니 곶 진입 직후] 과정과 [크라운 폴스 키우기]는 병행할 수 있으나, 이 공략을 보는 초심자들의 경우 피로도를 느끼거나 갈피를 못잡을 수 있으므로, 분리하여 설명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어차피 이 게임은 재개발이 일상인 게임이며, 특히 이 글에서 짓게 되는 대부분의 생산 건물은 본 공략 시리즈가 끝나기 전에 없엘 건물들이니 공들여 모양을 잡을 필요 없다.

[트릴로니 곶 진입 직후]

 

1. 여왕의 배로 이동한 뒤에 크라운폴스에 교역소를 짓는다. 참고할 것은 여왕에게 물품을 받지 말고 기존에 가져온 물품으로 짓고 난 뒤에 물품을 받는 것이다(사실 미리 받아도 되지만, 받게 되면 실을 공간이 없어 바다에 버려지고, 어차피 교역소를 짓고 주워야 한다).

 

1-1. 교역소를 클릭하고, 건설재의 고철 3종의 최소 재고를 최대로 설정한 후 구매 설정한다. 고철은 잠수를 통해서 얻을 수 있지만, 매우 귀찮고 획득량이 많지 않아 중간중간 부두에 정박하는 올드 네이트가 주고 가는 것을 모아야 한다. 이는 모든 섬의 교역소에 똑같이 설정하며, 섬 최대 재고량이 증가하면 갱신해준다(매번 갱신할 필요는 없다. 적당히 증가할 때마다 올려주면 된다.)

 

2. 교역소를 대형으로(2) 업그레이드하고(창고 증가용) 여객부두를 짓고 길로 연결한다. 여객부두는 매력도가 높은 섬에 여행객을 유치해 수입을 올릴 수 있다. 이는 앞서 얘기한 (3)에 해당한다.

 

2-1. 매력도가 낮은 섬에서는 유지비가 더 들어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안정궤도에 오르기 전에는 크라운 폴스와 신대륙의 마놀라에만 짓는다. 실제로 유지비(400)에 비해 관광객 수입(3099)가 더 큼을 확인할 수 있다.

 

 

3. 구대륙에 대기하고 있는 자원을 실은 배를 크라운 폴스로 보내고, 남은 배들로 구대륙 본섬에서 크라운폴스에 벽돌, 강철, 창문을 무역으로 옮긴다(최소 재고를 50으로 설정해놓는다.). T를 눌러 사용할 수 있다. 목재는 크라운 폴스에서 직접 생산할 수 있다.

 

 

4. 구대륙 본섬의 생산량을 조절한다. ctrl+Q를 통해 생산, 소비를 확인하고, 이를 조절한다. 생산 시설을 클릭하고 F를 누르면 공정을 멈출 수 있다. 이는 (1)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현재 슈냅스의 경우 12개 공정에 소비량은 8, 생산량은 24이다. 감자 농장, 슈냅스 공장을 8개씩 끈 뒤에 생산량은 8로 동일하다. 이런 식으로 농부 및 노동자 수요 물품을 조절한다. (나중에 화재와 같은 이유로 생산량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한 공정씩 더 돌려도 되고, 주기적으로 섬의 재고량을 ctrl+W로 확인해 필요할 때 재가동해도 된다)

 

(인력섬 레이아웃)

5. 트릴로니 곶에서 적당히 넓고, 감자, , 홉을 토착자원으로 가진 섬에 목재 50, 벽돌50, 철재 8개를 보내 교역소를 짓고 주거지 레이아웃을 4 블록 깔아준다(이하 03인력섬). 이후 구대륙 본섬에서 했던 것처럼 모든 주거지 청사진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한 블록은 노동자까지 업그레이드할 것이기 때문에 7번 과정에 필요한 노동자를 미리 업그레이드하여 7번을 병행해도 좋다. 특히 벽돌의 경우 생산이 느리므로 병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5-1. 주의할 점은 이미 경찰서가 해금되었으므로 농부만 있더라도 폭동이 일어날 수 있다. 가져온 벽돌 50개 중 40개는 블록 당 1개의 경찰서를 짓는 데에 사용한다.

 

6. 농부 3종 세트를 생산한다. 크라운 폴스에서 사용할 양까지 03인력섬에서 생산할 예정이므로 여유있게 생산한다. 소비량의 2배 정도 생산하면 된다.

 

7. 1-2블록은 노동자로 만들고, 마찬가지로 노동자 요구물품 및 맥주(구대륙에서는 건너뛰어도 되었지만 여기선 아니다. 이제 코인이 많이 필요한데, 맥주는 쉽게 만들 수 있고 코인을 많이 준다.)를 생산한다. 농부 물품보다 조금 더 여유있게 소비량의 3-4배 정도 생산한다. 또한 벽돌, 강철 등의 물품들도 생산한다. 교역소도 적당히 업그레이드해서 재고량을 늘려준다.(참고로 강철 생산할 때 숯가마 대신에 석탄 광산을 사용할 수 있다. 철 광산1, 석탄 광산1이 제철소 2개를 커버한다)

 

7-1. 7번 과정을 하면서 다음 단계 [크라운 폴스 키우기1] 7까지 진행한다. 완료 후에 해도 무관하다.

--------------------------------------

[크라운 폴스 키우기1]

 

1. 크라운 폴스에 부둣가 제1부두를 건설한다(지금 건설하는 이유는 창고를 늘리기 위함이며, 모듈은 건설재가 들어가고 유지비가 나가므로 천천히 진행한다).

1-1. 앞으로 배가 많이 필요하므로 01본섬에서 쾌속 범선을 제작하여 크라운 폴스로 이동시킨다.

 

2. 03인력섬에서 농부 요구 물품을 크라운 폴스로 옮기는 무역로를 만든다. 이 때 03인력섬의 물품이 부족하지 않게 교역소에서 최소 재고를 50으로 설정한다

 

 

3. 크라운 폴스에 주거지 레이아웃을 3 블록 깔아놓는다. 이떄 주의할 점은 해안 사이에 공간을 남겨놓을 것과, 강과의 공간 최소 2칸 이상 떨어뜨려서 청사진을 깔 것이다.

 

3-1. 이는 나중에 철로와 전기, 전동기 등을 위한 공간 분배이다.

 

 

4. 주거지를 업그레이드하면서 목재를 대량 생산한다. (나중에 대량 사용할 예정이다. 본 공략에서는 벌목4 목재4 창고1의 세트를 6세트 사용한다.). 중간에 교회 건설하라는 여왕은 가볍게 무시한다. 어차피 나중에 해도 된다.

 

5. 01본섬에서 들고 오는 건설재를 사용하여, 크라운 폴스에 보급소, 수출 관리소, 선적 부두를 짓는다. 우선순위는 수출 관리소 1, 보급소, 선적 부두, 수출 관리소이다.

 

5-1. 모듈 개수 상한은 부둣가 레벨이 오를수록 오르며, 이는 이후에 수출을 통해 늘릴 수 있다. 유지비가 감당 가능한 선에서 계속 업그레이드하면 된다. 어차피 크라운 폴스 부둣가는 상기한 세 개의 모듈을 다 지어야 한다.

 

5-2. 만약 나중에 무역을 하다가 배가 기다리는 시간이 많아지면, 부두 모듈을 지으면 된다. 중형 항구의 부두와 같은 효과지만 부둣가 모듈은 섬의 매력도를 올려주고, 해안 공간을 적게 잡아먹는다.

 

6. 부둣가의 수출 탭에서 목재로 소시지를 수입한다. 소시지가 가득 찼다면 수출하고 적당한 다른 물품을 수입한다. 수출/수입 총량이 일정 이상 되어야 통조림을 수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6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창문을 일부 옮겨 03인력섬으로 옮겨 똑같이 부둣가 제1부두를 건설한다. 이 때 크라운 폴스에 창문을 최소 200개는 남겨놓는다. 이는 나중에 병원을 짓기 위함이다.

 

8. 03인력섬의 벽돌, 철재의 최소 재고량을 100으로 설정하고, 03인력섬에서 크라운 폴스로 벽돌과 철재를 옮기는 무역로를 설정한다.

 

9. 부둣가 무역에서 통조림이 해금되었다면, 소시지를 통조림으로 바꾼다(목재로 통조림 수입)

 

9-1. 목재 500을 통조림 수입에 사용한다(가성비가 좋지는 않다. 하지만 이는 나중에 자전거 무역으로 바꿀 것이며, 그 전 단계에 해당하므로 상관없다. 만약 섬에 다른 고급 물품들 중 최대 재고인 물품이 있으면 대체해도 좋지만, 다음 무역이 끝나면 다시 목재로 바꿔줘야 하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10. 03인력섬에서 무역으로 크라운폴스에 노동자 4(소시지, , 비누, 맥주)를 옮긴다. 역시 03섬에 최소재고를 50 정도로 설정해 놓는다.

 

11. 크라운 폴스의 해안과 가장 가까운 한 블록을 노동자로 업그레이드하고, 교회, 학교 등을 지어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준다. (나중에 다른 블록들도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니 청사진을 깔아둬도 좋다.)

 

11-1. 노동자 주거지 사이의 길을 벽돌 길로 바꿔준다. 추후 농부 주택을 업그레이드하면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한 편, 여왕은 교회 다음으로 요구사항으로 항만 관리소장실을 지으라고 한다. 가뿐히 무시하자. 어차피 다 나중에 한다.

 

12. 노동자 주택이 직공 주택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면, 구대륙과 트릴로니를 합쳐서 직공 900명이 되도록 주택을 업그레이드 한다.(해안에 가장 가까운 쪽에서부터 하도록 한다. 나중에 기술자가 되면 해안 쪽에 기술자 요구사항인 전기 발전소를 지을 예정이다.)

 

13. 01본섬과 크라운 폴스, 03인력섬에 병원을 짓는다. 농부만 있어도 질병이 발생하므로 곳곳에 지어줘야 한다. 그동안 건설재에 최소 재고를 설정하고, 창문을 옮긴 이유이다.

 

14. 크라운 폴스 부둣가에서 500의 목재로 모피 코트를 수입한다.

 

14-1. 아마 이제 벽돌이 부족할 것이다. 크라운 폴스에서 재고가 가득 찬 물품 중 하나(아까 많이 사놓은 소시지 등)를 수출하여 점토를 수입하고, 벽돌 공장을 지어서 벽돌을 생산해도 좋다. (안해도 무관하나 시간이 더 걸릴 것이다.

 

15. 03인력섬에서 무역로를 통해 강철을 크라운 폴스로 옮기고, 크라운 폴스에 직공 요구사항 재봉틀을 지어준다.

 

16. 크라운 폴스 해안가 쪽 첫번째 블록의 2-3번쨰 줄까지를 직공 주택으로 업그레이드하고 대학을 지어준다.

 

 

 

-------------------------------

 

여기까지 하면 기술자 티어 진입을 목전에 둔 것입니다.

생각보다 새 지구 파면서 하나하나 쓰면서 하다보니 진행이 더디네요.... 백수였으면 하루만에 다 했을텐데 아쉽게도 대학원생인지라.... ㅎㅎ 다음 편은 주말 전에 올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편 03. 기술자 해금(진짜 해금)으로 찾아오겠습니다.